1. 고속도로 주행 시 아래의 설명 중 올바른 것은?
A. 입체 교차로, 가속차선, 감속차선에서 추월이 가능하다
B. 후진, 역주행, 중앙선을 넘어 유턴을 해서는 안 된다
C. 비상상황이 아닐 경우에도 비상차선 진입이 가능하다
D. 시운전 혹은 운전연습을 할 수 있다
정답: B
2. 내리막길 주행 중 브레이크 제어가 안될 경우, 운전자는 곧바로 비상차선에 진입해 정차한 후 주차 브레이크를 당겨 2 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끔 해야 한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A
3. 이 교차로를 통과할 때 좌측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B
4. 내리막길 주행 중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때 취해야 할 조치는?
A. 비상차선에서 속도를 줄인 후 정차한다
B. 저속기어를 2 단 낮추어 감속한다
C. 후진기어에 넣고 강제로 정차한다
D. 주차 브레이크를 당겨 속도를 줄인다
정답: A
5. 이런 상황의 획단보도에서는 어떻게 주행해야 하는가?
A. 감속해 통과한다.
B. 가속해 통과한다.
C. 경적을 울리며통과한다.
D. 급제동한다.
정답: A
6. 붉은동그라미 안 표지는 비차량 외 기타 차량은 해당 차선 주행금지를 의미한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A
7. 노면의 백색 야광 점선은 전방 도로 구간에서 감속 서행해야 하는 것을 경고하는 표시이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A
8. 고속도로 입체 교차로에서 정차 할 수 없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A
9. 이런 상황에서는 출발 시 상향 전조등을 켜야 한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B
10.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?
A. 앞차 좌측으로 추월한다
B. 반대 차선을 넘어 주월한다.
C. 앞차 우측으로 추월한다
D. 앞차 뒤에서 다라간다
정답: D
11. 이 표지는 전방도로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차량이 양측으로 우회해야함을 의미한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A
12. 이런 경우 운전자는 무엇을 주의해야 하는가?
A. 좌측 차량
B. 우측 차량
C. 뒤쪽 차량
D. 앞차
정답: A
13. 황색 사선으로 채워진 노면 표기는 전방에 고정 장애물이 있다는 경고 표시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A
14. 이 수신호에서는 직진할 수 있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B
15. 고속도로에서 정상주행 중인 앞차와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울 경우, 알맞은 타이밍에 재빨리 끼어든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B
16. 고속도로 주행 중 고장으로 인해 점검이 필요할 때 차가 정차해야 할 곳은?
A. 도로 가장자리 차선에 정차한다
B. 중앙 차선에 정차한다
C. 비상차선에 정차한다
D. 입체 교차로 입구 삼각지대에 정차한다
정답: C
17. 고속도로 주행 중 고장으로 인했 비차선이나 갓길을 떠날 수 없을 때 운전자는 길가에서 기다릴 수는 있으나 고속도로에 차를 두고 떠날 수 없다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B
18. 차량이 고장으로 인해 고속도로에서 정차할 때 취해야 할 방법 중 올바른 것은?
A. 차 뒤쪽 150 미터 앞에 고장 경고표지판을 세워둔다
B. 차 뒤쪽 100 미터 앞에 고장 경고표지판을 세워둔다
C. 야간 주행 시 차폭등과 후미등을 켜야한다
D. 비상깝박이를 켜야 한다
정답: ACD
19. 이 수신호에서는 어떻게 주행해야 하는가?
A. 직진한다.
B. 정지선 밖에 정차해 기다린다.
C. 교차로에서 좌회전한다.
D. 감속 서행한다
정답: C
20. 도로 위 화살표유도선은 전방도로 직진만 가능을 의미한다.
A. 맞다
B. 틀리다
정답: A